2012. 3. 8. 10:40
◆ 머니 IQ를 높이자 ④금융소비 패턴 바꿔라 ◆

5년차 직장인 이성호 씨(33)는 3년 전 가입한 한 손해보험사의 저축성 보험만 떠올리면 저절로 한숨이 나온다. 결혼 전 안정적인 투자라는 홈쇼핑 광고를 보고 매월 80만원씩 7년간 납입하는 조건으로 가입한 이씨는 결혼 후 아파트를 구입하면서 1억4000만원의 대출을 받은 탓에 원리금 상환만으로도 허덕이는 처지가 됐다. 그런데 보험을 해약하려니 2000만원에 달하는 납입원금의 70%밖에 돌려받지 못한다고 해 더 이상 납입하지 않은 채 유지만 하고 있다. 이씨는 "원금이나마 건지려 해도 앞으로 4~5년은 더 기다려야 한다니 답답할 노릇"이라고 말했다.

`장기적인 계획 없는 금융소비는 오히려 앞날을 어둡게 하는 투자다.`

계획 없는 소비는 약이 아닌 독이 돼 부메랑으로 돌아온다. 자신의 소득수준을 고려하지 않고 분명한 목적을 세우지 않은 채 금융소비를 일삼는 건 어리석은 선택이기 때문이다.

`미래를 위한 투자`라는 감언이설에 현혹돼 금융상품에 덜컥 가입했다가 낭패를 보는 이들은 우리 주변에 항상 있다. 세후 4000만원의 연봉을 받으면서 보험료와 원리금으로만 월급의 절반 가까이 내는 이씨 사례가 바로 그렇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우리나라 생명ㆍ손해보험사의 2011회계연도 상반기 13회차 보험계약 유지율은 평균 79.1%를 기록했다. 전체 보험 가입자의 10명 중 2명 이상이 1년 후 납입원금도 건지지 못하는 보험상품에 가입한다는 얘기다. 유지율이란 월납 기준으로 가입한 해당 보험계약이 얼마나 유지되고 있는지를 나타낸다. 13회차는 가입 1년 후를 의미한다. 심지어 2년 후 보험계약 유지 비율을 뜻하는 25회차 유지율은 61.5%다. 이 기간 보험에 가입한 금융소비자 10명 가운데 4명가량은 원금손실을 입고도 보험을 해약했다는 것을 뜻한다.

조미옥 신한PB스타타워센터 팀장은 "많은 사람이 금융소비 계획을 세우지 않은 채 무턱대고 금융상품에 가입하는 일이 허다하다"며 "자신이 가진 자산 가운데 여유 있는 액수를 정하고 이 비율을 넘지 않는 범위에서 금융상품을 소비하는 게 당연한 순서"라고 지적했다.

계획 없는 금융소비 습관을 가진 소비자들의 가장 큰 특징은 과도한 고정비용 지출을 과소비로 인식하지 못하는 점이다. 단지 가계소득 수준에 비해 과도한 금융소비를 하는 행동과 선택이 문제가 아니라 고정비용을 늘리고도 이를 `불가피한 지출`로 인지해 버리는 습관을 경계해야 한다는 것이다. 가령 통신비나 자동차 유지 비용을 과도하게 지출하면서도 이를 고정비용으로 생각하는 소비행태부터 바꿔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윤정 포도재무설계 책임상담사는 "고정비용 외 지출에서 과소비가 발생하는 경우라면 지출 규모를 축소함으로써 수입과 지출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며 "하지만 고정비용을 늘리고도 이를 과소비로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이 늘어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소득증가율은 크게 늘지 않았는데 고정비용이 급격히 늘어나 부채 상승의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실제로 한국은행이 지난해 발표한 2011 가계금융조사에는 자기 집을 보유한 가구 전체의 가처분소득은 3688만원으로 전년(3373만원) 대비 9.3%, 같은 기간 가구당 평균 부채액은 6353만원으로 전년(5629만원) 대비 12.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채가 늘어나는 속도가 소득이 늘어나는 속도를 앞지른 셈이다.

또 지난해 금융당국이 가계부채 종합대책을 시행했음에도 카드 채무불이행 신규발생지수는 꾸준히 늘어왔다.

나이스신용평가에 따르면 카드 채무불이행 신규발생지수는 지난해 9월 6.02로 전년 10월 대비 1.10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채무불이행 신규발생 건수를 100으로 한 지수 가운데 카드 채무불이행 신규발생 건수만을 산정한 것이다.

대출 원리금 상환을 고정비용으로 생각하는 문제는 더 심각하다.

매일경제신문이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MQ설문조사에 따르면 월 소득 가운데 10% 이상을 대출 원리금 상환에 지출하는 응답자는 전체의 20.6%를 차지했다. 월 소득 중 대출 원리금 비중이 21~30%인 응답자는 7.5%, 31~40%는 3.2%, 심지어 50% 이상을 대출 원리금으로 내는 응답자도 2.9%나 됐다.

강구 하나은행 서현역 PB센터장은 "원리금 상환 비중이 월 소득의 20%를 넘는 응답자 비율이 16%가량인데 이 정도 비중이면 주택 구입 시기를 늦췄어야 한다"며 "원리금 상환 비중을 낮추려면 저축을 통해 원금을 빨리 상환하는 방법뿐인데 장기적인 계획이 없다면 목돈을 만들기도 쉽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저금리ㆍ저성장 시대일수록 더욱 금융소비의 포트폴리오와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한다.

강구 센터장은 "투자 시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점은 자금 사용 목적을 분명히 하는 것"이라며 "사용 시기와 자금 활용법, 어떤 목적으로 쓸 것인가 등을 구체적으로 정하지 않은 상황에서 금융상품에 가입하면 확보해야 할 수익률조차 얻지 못할 위험이 있다"고 말했다.

단기적인 이율에 매몰되지 말고 장기 투자의 안목을 갖고 금융상품 가입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신윤정 상담사는 "반드시 필요한 상품이 아니라면 과감히 쳐다보지도 말아야 한다"며 "저축이든 펀드든 캠페인성 상품을 소개하는 것에 휩쓸리지 말고 3년, 5년, 10년 등 자신의 재정 상황을 감안해 투자하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기획취재팀=김선걸 차장(팀장) / 손일선 기자 / 최승진 기자 / 김유태 기자 / 석민수 기자 / 윤진호 기자]


Posted by 물색없는세상